이주노동자 임금체불 현황
코로나19 이후 이주노동자 규모는 감소했지만 임금체불 문제는 더 심각해졌습니다. 전체 임금체불 사건 중 이주노동자의 비중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내국인에 비해 임금체불을 경험할 확률이 3배 이상 높습니다. 임금체불은 주로 건설업,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제조업 순으로 많이 발생하며, 특히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이주노동자들이 가장 흔하게 겪는 임금체불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퇴직금 미지급 :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각종 수당 미지급 : 연차, 주휴, 휴업수당 등 법적으로 지급해야 할 수당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당한 비용 공제 : 기숙사비 등을 부당하게 임금에서 공제하는 사례가 빈번합니다.
최저임금 미만 지급: 특히 농축산업과 어업에 종사하는 이주노동자들이 주로 겪는 문제입니다.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조사 결과
이주노동자 설문조사:
이주노동자의 90%가 임금체불 문제가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평균 체불액은 약 663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cite: 744].
임금체불의 주된 이유로 '사업주가 법 위반을 알면서도 고의로 체불(37.6%)', '외국인 노동자라서(35.6%)', '상습적인 체불 사업장(34.9%)' 순으로 응답했습니다.
진정 과정에서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의사소통 문제'(58.4%)를 꼽았습니다.
상담자 및 활동가 설문조사:
이주노동자 노동 상담 중 임금체불 상담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42.3%에 달했습니다.
임금체불 문제 해결을 위해 시급한 개선 영역으로 '사업주 제재 강화'(34.4%)와 '체불임금 해결시스템 개선'(32.3%)을 지적했습니다.
심층면접조사:
임금체불 심화 요인으로는 사업장 정보 부족, 근로계약서 미준수, 사업장 변경 제한, 사업주의 잘못된 인식, 근로감독관의 소극적 태도 등이 지적되었습니다.
제도 개선 요구사항으로는 임금체불 사업장에 대한 고용 제한, 정부의 관리감독 책임 강화, 사업장 변경 제한 완화, 사업주 처벌 강화 등이 제시되었습니다.
### 국내외 제도 분석 및 개선 과제
국내 제도:
한국의 임금체불 해결 시스템은 형사처벌을 중심으로 운영되지만, 처벌 수위가 낮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주노동자는 고용허가제로 인한 사업장 종속성, 정보 부족, 언어 문제 등으로 사법 접근성에 제약을 겪고 있습니다.
해외 사례:
독일은 노동자 생활 보호에 강점을 보이며, 일본은 근로감독을 통한 예방, 영국은 조정과 판결의 연계성, 미국은 강력한 형사처벌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선진국들은 공통적으로 임금체불에 대한 부정적 사회 분위기 형성, 불시 점검 및 강력한 벌금, 상담 및 지원 시스템 강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종 정책 제안
보고서는 이주노동자 임금체불 문제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도 개선 방향을 제시합니다.
임금체불 문제 일반에 대한 개선 : '임금체불은 범죄'라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 적극적인 근로감독, 5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노동법 사각지대 해소, 사업주 책임 강화가 필요합니다.
이주노동자 특성을 고려한 개선 : 이주노동자에 대한 차별적 인식 개선, 정보 접근성 및 알권리 보장, 권리구제 지원제도(통역, 대리인 등) 확대, 사업장 변경 제도 개선, 대지급금 제도 및 임금체불보증보험의 모든 이주노동자 고용사업장으로 확대 등이 필요합니다.